찌릿찌릿 전기설비 안전하게 다루기
전기는 우리의 삶에 편리함을 가져다 주고 작업의 능률을 한층 향상시켜 주는 고마운 존재다. 그러다 보니 어느덧 작업자와 전기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.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장비나 설비는 거의 없다. 문제는 전기설비에 항상 뒤따르는 감전사고와 화재, 폭발의 위험이다. 편리하지만 무서운 전기, 어떻게 다뤄야 안전하게 쓸 수 있을까?
<전기설비 작업 지식달인 QUIZ>
전기설비는 전기를 사용하는 각종 시설을 통칭하는 말로써, 조명, 전열, 전동력, 송·배전 및 발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설비를 모두 아우릅니다. 전기 설비는 충전된 노출부에 인체 접촉으로 인한 감전, 설비의 절연이 파괴돼 누전에 의한 감전, 외함 미접지로 인한 감전 등 감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습니다. 뿐만 아니라 작업 반경에 인화물이나 가연성 물질이 있을 경우 누전에 의한 화재와 폭발까지 유발될 수 있으므로 작업 전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서 근로자는 절연장갑 등 보호구를 착용하고, 사업장은 전기 충전부 격리, 올바른 접지, 누전차단기 설치, 안전작업 절차준수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
1. 아래의 보기는 전기 취급 작업을 위한 사전 안전조치들입니다. 틀린 것을 고르세요.
❶ 인체와 전기설비의 직접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방호조치를 취한다.
❷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절연용 보호구를 장비하지 않아도 된다.
❸ 각 전기설비는 올바르게 접지하고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.
❹ 작업 전 전기기기 등에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도면이나 배선도 등으로 확인한다.
2. 다음 중 전기설비 사용의 일반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 무엇일까요?
❶ 전 기 스위치 부근에 인화성, 가연성 물질 등을 가까이 두지 않는다 .
❷ 전기 수리·점검 시에는 “수리중” 또는 “점검중” 표시를 하고 관계자 이외에는 출입을 금한다.
❸ 허가 없이 임의로 전기 배선을 접속 사용하지 않는다.
❹ 전원 연장선은 가능한 최대로 길게 사용한다.
3. 아래의 보기를 전로 차단 절차에 맞게 나열한 것을 고르세요.
|
ㄱ. 사전에 전기기기 등에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관련 도면, 배선도 등으로 확인한다.
ㄴ. 검전기를 이용해 작업 대상 기기의 충전 여부를 확인한다.
ㄷ. 안전하게 전원을 차단한 후 각 단로기 등에 잠금장치와 꼬리표를 부착한다. |
❶ ㄱ-ㄴ-ㄷ ❷ ㄱ -ㄷ-ㄴ ❸ ㄷ-ㄱ-ㄴ ❹ ㄷ -ㄴ-ㄱ
4. 아래의 보기는 전기 작업 시 사전에 점검해야 하는 안전점검 항목들입니다. 네모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점검대상은 무엇일까요?
|
1. 노출돼 있는 ( )에 작업자의 신체가 직접 접촉될 위험은 없는가?
2. 작업자가 수분이 많은 젖은 손으로( )를 조작하지는 않는가?
3. ( )임의 조작 금지를 위한 시건장치가 돼있는가? |
❶ 과전류보호장치 ❷ 제 전장치 ❸ 충전부 ❹ 개 폐기